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9.0℃
  • 맑음대관령 -16.4℃
  • 구름조금백령도 -2.5℃
  • 맑음북강릉 -5.2℃
  • 맑음강릉 -3.4℃
  • 맑음동해 -3.9℃
  • 맑음서울 -6.3℃
  • 맑음인천 -5.2℃
  • 맑음수원 -7.7℃
  • 맑음충주 -9.0℃
  • 맑음서산 -8.7℃
  • 맑음청주 -5.3℃
  • 구름조금대전 -5.8℃
  • 흐림추풍령 -6.0℃
  • 구름많음군산 -5.4℃
  • 구름많음대구 -2.9℃
  • 구름많음전주 -4.0℃
  • 흐림울산 -2.8℃
  • 구름많음광주 -2.6℃
  • 구름많음부산 -1.6℃
  • 흐림목포 -1.3℃
  • 흐림여수 -2.1℃
  • 흐림흑산도 2.0℃
  • 흐림완도 -0.5℃
  • 구름많음고창 -4.3℃
  • 흐림순천 -4.0℃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7.0℃
  • 구름많음제주 2.6℃
  • 흐림고산 2.8℃
  • 구름조금성산 1.6℃
  • 구름많음서귀포 4.1℃
  • 맑음강화 -5.9℃
  • 맑음양평 -6.8℃
  • 맑음이천 -6.8℃
  • 맑음제천 -11.1℃
  • 맑음보은 -6.5℃
  • 맑음천안 -8.0℃
  • 구름많음보령 -7.2℃
  • 구름많음부여 -7.1℃
  • 흐림금산 -5.5℃
  • 구름많음부안 -4.5℃
  • 구름많음임실 -6.5℃
  • 구름많음정읍 -5.0℃
  • 구름많음남원 -6.6℃
  • 흐림장수 -6.9℃
  • 구름많음고창군 -3.5℃
  • 구름많음영광군 -3.1℃
  • 흐림김해시 -2.7℃
  • 흐림순창군 -4.4℃
  • 흐림보성군 -1.2℃
  • 흐림강진군 -1.1℃
  • 흐림장흥 -1.5℃
  • 흐림해남 -0.5℃
  • 흐림고흥 -1.7℃
  • 흐림광양시 -2.4℃
  • 흐림진도군 -0.2℃
  • 맑음봉화 -13.1℃
  • 맑음문경 -7.3℃
  • 구름많음구미 -6.7℃
  • 흐림경주시 -2.9℃
  • 흐림거창 -7.3℃
  • 구름많음거제 -1.4℃
  • 흐림남해 -1.4℃
기상청 제공

파킨슨 질환, 재활치료 이를수록 인지기능 향상 등 효과 좋아

재활 시작 시기에 따라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효과 차이

 

[한국시니어신문]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의 재활이 빠를수록 인지기능 향상,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등 치료 효과가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조성래 교수 연구팀은 독성 단백질 알파시누클레인이 쌓이며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의 재활치료 시작 시기가 인지기능 향상은 물론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차이를 준다고 11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질환 국제학술지 ‘질병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Disease)’에 게재됐다.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뇌에 쌓여 생기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다.

 

파킨슨병은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도파민 신경세포 내에 축척하면서 발병한다. 떨림, 행동 둔화, 자세 불안정 등 신체 증상을 주로 보인다. 루이소체 치매는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뇌 전체에 쌓이며 루이소체가 생겨 발생한다. 파킨슨병 신체 증상과 더불어 인지기능 저하, 환시, 수면 행동장애가 나타난다.

 

두 질병 모두 재활치료가 중요하다. 증상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보행 등 운동 재활은 물론 물리치료, 작업치료, 인지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연구팀은 재활치료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실제로 운동과 인지기능 향상을 야기하는지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축적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한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 마우스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이러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재활 요소가 풍부한 환경(environmental enrichment)에서 2개월 동안 재활치료를 진행했다. 재활치료 환경은 기존 실험 동물을 사육하는 환경과 다르게 장난감, 터널, 수레바퀴 등을 설치한 대형 사육장에 자발적인 신체 운동, 감각∙인지 자극을 제공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재활치료 결과,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릴린(Reelin) 단백질과 LAMP1 (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1) 리소좀 단백질이 독성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을 감소시켰다.

 

또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마우스의 재활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하여 치료 효과 차이를 살피는 연구를 이어갔다.

 

생후 4~6개월 질병 초기 마우스와 생후 14~16개월 질병 후기 마우스에서 2개월 간 똑같은 재활치료 환경에 노출시켜 자유로운 신체 운동, 감각∙인지 자극을 제공했다.

 

두 연구군은 동일하게 후각기능, 운동기능이 향상됐다. 후각기능은 생후 6개월 질병 초기군에서 1.5배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인지기능 개선,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효과는 생후 6개월 질병 초기군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성래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재활치료가 신체 근력 향상을 넘어 독성 단백질 감소시켜 파킨슨 질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기전을 규명했다”며 “질병 초기에 재활이 빠를수록 질환 진행 방지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동은 기자] edong@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