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대관령 19.0℃
  • 맑음백령도 14.1℃
  • 구름조금북강릉 23.3℃
  • 맑음강릉 26.0℃
  • 맑음동해 20.6℃
  • 맑음서울 21.7℃
  • 맑음인천 20.8℃
  • 맑음수원 21.0℃
  • 맑음충주 21.6℃
  • 맑음서산 19.6℃
  • 맑음청주 22.2℃
  • 맑음대전 23.5℃
  • 맑음추풍령 22.9℃
  • 맑음군산 23.0℃
  • 맑음대구 21.6℃
  • 맑음전주 24.8℃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목포 21.0℃
  • 맑음여수 18.6℃
  • 맑음흑산도 18.7℃
  • 맑음완도 21.0℃
  • 맑음고창 21.6℃
  • 맑음순천 20.8℃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22.2℃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고산 17.5℃
  • 구름많음성산 18.7℃
  • 구름많음서귀포 19.8℃
  • 맑음강화 19.7℃
  • 맑음양평 19.7℃
  • 맑음이천 20.1℃
  • 맑음제천 20.2℃
  • 맑음보은 21.5℃
  • 맑음천안 21.3℃
  • 맑음보령 22.2℃
  • 맑음부여 21.8℃
  • 맑음금산 23.8℃
  • 맑음부안 23.2℃
  • 맑음임실 21.7℃
  • 맑음정읍 23.3℃
  • 맑음남원 21.5℃
  • 맑음장수 22.7℃
  • 맑음고창군 23.0℃
  • 맑음영광군 22.5℃
  • 맑음김해시 22.5℃
  • 맑음순창군 21.2℃
  • 맑음보성군 19.9℃
  • 맑음강진군 20.6℃
  • 맑음장흥 21.3℃
  • 맑음해남 22.7℃
  • 맑음고흥 22.8℃
  • 맑음광양시 22.0℃
  • 맑음진도군 20.3℃
  • 맑음봉화 21.2℃
  • 맑음문경 20.8℃
  • 맑음구미 23.2℃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창 22.5℃
  • 맑음거제 20.6℃
  • 구름조금남해 20.2℃
기상청 제공

젊어진 서울시 중장년, 디지털 주도층으로 떠올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 중장년의 미디어 소비 방식, 정보 탐색 경로 등 4년 간 추이 분석
태블릿PC·웨어러블 기기 보유율 3배 이상 증가, OTT 이용률 95% 돌파, 유튜브·인스타그램 선호
중장년층 미디어 소비 패턴, 스마트 기기 활용도 및 정보탐색 방식 급변…관련 맞춤형 정책과 취·창업 지원 필요

 

[한국시니어신문] 서울시 중장년층이 디지털 환경을 빠르게 수용하며 새로운 소비·정보 탐색 패턴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대표이사 강명)이 발표한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장년층의 스마트 기기 활용도와 온라인 정보 탐색 방식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19년과 2023년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시 중장년층(40~69세)의 스마트 기기 보유 현황, 미디어 소비 방식, 정보 탐색 경로 등을 연령대별로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태블릿PC와 웨어러블 기기 보유율은 19년에 각각 7.4%, 2.9%였으나 23년에는 21.7%, 26.6%로 3배 이상 증가했고,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은 95%를 돌파하며 기존 TV 중심의 미디어 소비가 온라인 플랫폼으로 급격히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SNS 활용도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40대의 SNS 이용률은 77.8%, 50대는 52.7%로 상승하며 2030세대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40·50대는 인스타그램(40대 50.5%, 50대 28.7%)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0대는 여전히 카카오스토리(35.9%)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온라인 정보 탐색 방식의 변화도 두드러졌다. 2019년 대비 2023년 신문 구독률은 71.7% 증가했지만, 종이신문(3.5%)보다 포털사이트(93.3%)를 통한 뉴스 소비가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이는 중장년층이 온라인을 통한 정보 탐색에 더욱 익숙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하재영 책임연구원은 “중장년층이 디지털 환경을 주도적으로 활용하며 정보 소비와 경제활동 방식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며 “이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개발과 홍보 전략 다변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강명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서울시 중장년층은 더 이상 전통적인 소비자에 머물지 않고, 디지털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주체로 자리 잡고 있다”며, “온라인을 기반으로 다양한 일자리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맞춤 교육과 취·창업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동은 기자] edong@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