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0 (목)

  • 맑음동두천 0.4℃
  • 맑음대관령 -3.8℃
  • 구름조금백령도 -1.2℃
  • 맑음북강릉 1.1℃
  • 맑음강릉 1.8℃
  • 맑음동해 2.2℃
  • 맑음서울 1.2℃
  • 맑음인천 0.0℃
  • 맑음수원 0.1℃
  • 맑음충주 1.1℃
  • 맑음서산 -0.2℃
  • 맑음청주 0.5℃
  • 맑음대전 2.6℃
  • 맑음추풍령 1.2℃
  • 맑음군산 0.5℃
  • 맑음대구 4.4℃
  • 맑음전주 1.6℃
  • 맑음울산 4.4℃
  • 맑음광주 1.7℃
  • 맑음부산 6.0℃
  • 구름조금목포 0.9℃
  • 구름조금여수 4.8℃
  • 구름조금흑산도 2.1℃
  • 구름조금완도 2.5℃
  • 맑음고창 -0.1℃
  • 맑음순천 1.7℃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0.5℃
  • 구름많음제주 5.1℃
  • 구름많음고산 3.3℃
  • 구름많음성산 4.3℃
  • 구름많음서귀포 7.8℃
  • 맑음강화 -0.1℃
  • 맑음양평 1.4℃
  • 맑음이천 1.1℃
  • 맑음제천 0.3℃
  • 맑음보은 1.4℃
  • 맑음천안 -0.2℃
  • 맑음보령 0.7℃
  • 맑음부여 2.3℃
  • 맑음금산 2.5℃
  • 맑음부안 1.4℃
  • 맑음임실 1.1℃
  • 맑음정읍 0.6℃
  • 맑음남원 1.8℃
  • 맑음장수 -0.9℃
  • 맑음고창군 1.2℃
  • 맑음영광군 0.8℃
  • 맑음김해시 5.7℃
  • 맑음순창군 0.9℃
  • 구름조금보성군 4.0℃
  • 구름조금강진군 2.9℃
  • 구름조금장흥 2.5℃
  • 구름조금해남 2.5℃
  • 구름조금고흥 4.1℃
  • 맑음광양시 4.2℃
  • 구름조금진도군 1.8℃
  • 맑음봉화 0.2℃
  • 맑음문경 1.1℃
  • 맑음구미 4.4℃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창 2.0℃
  • 맑음거제 4.6℃
  • 맑음남해 5.5℃
기상청 제공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1인당 연간 20만원→36만원 확대

경기도, 정신건강 취약계층 ‘더 많은, 더 나은’ 치료 기회 부여 차원서 결정
도,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사업별 예산 조정 거쳐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
예산 기존 3천만원에서 1억 3천으로 증액 조정.
연간 700여명 정도 지원 가능
8월 10일 신청분부터 적용. 희망자는 시·군 정신건강보건센터, 자살예방센터로 문의


#. 연천군에 사는 70대 여성 독거노인인 A씨는 사고‧질병으로 자녀를 3명이나 먼저 떠나보낸 후 외부와 단절하며 극심한 우울증을 겪었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정신과 약 처방도 받지 못하던 A씨는 경기도의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으로 치료비를 지원받았다. 외래진료를 이어간 A씨는 이제 이웃과 소통하며 새 인생을 살고 있다.

 

경기도가 더 많은 도민이, 더 나은 정신건강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정신건강 취약계층인 노인 대상 정신과 치료비를 기존 대비 80% 증액했다.

 

경기도는 노인 대상 건강증진보건사업인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의 예산을 도민 정신건강사업 예산인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의 사업별 예산조정으로 기존 3천만 원에서 1억 3천만 원으로 증액했다고 10일 밝혔다. 

 

예산 증액에 따라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의 1인당 연간 지원 한도액은 기존 20만 원에서 1.8배 늘어난 36만 원으로 확정됐다.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은 만 60세 이상 도내 노인에게 우울증 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3년부터 시행됐다. 

 

도는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이 다른 정신건강 지원 사업에 비해 시작 시기가 빨라 지원금액이 낮게 책정됐다며 지원 대상 간 형평성 확보 차원에서 지원금을 높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의 연간 지원 인원은 연간 700여 명으로 추정된다. 지원금액 인상은 8월 10일 신청분부터 적용된다.

 

도는 올해는 지원액만 상향하지만 내년부터는 중위소득 120% 이하인 현재의 지원 기준을 폐지해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치료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치료사각지대를 줄여 나갈 방침이다.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신청 희망자는 본인 또는 보호자가 시·군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자살예방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각각의 지원금은 우선 진료를 받은 후 나중에 소급해 정산하는 방식으로 지급된다. 

 

엄원자 경기도 정신건강과장은 “노인의 경우 2020년 경기도 80세 이상 자살률이 인구 10만 명당 63.9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심각하다”면서 “이번 치료비 지원 사업 확대를 통해 노인들이 조기에 병을 발견하고 치료를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노인 대상 정신과 치료비 지원 사업 외에도 최근 5년 이내 정신과 질환을 처음 진단받은 만 19~34세 경기도 청년에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여부나 소득 기준을 따지지 않고 1인당 최대 연 36만 원의 외래 진료비를 지급하는 ‘청년 마인드케어’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데일리케이 강은서 기자 | eunseo@daily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