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6 (일)

  • 흐림동두천 5.1℃
  • 흐림대관령 1.2℃
  • 맑음백령도 2.8℃
  • 북강릉 5.6℃
  • 흐림강릉 6.9℃
  • 흐림동해 5.9℃
  • 구름많음서울 5.0℃
  • 구름조금인천 4.8℃
  • 흐림수원 5.5℃
  • 흐림충주 4.0℃
  • 구름많음서산 4.8℃
  • 흐림청주 5.3℃
  • 흐림대전 5.1℃
  • 흐림추풍령 3.0℃
  • 구름많음군산 5.2℃
  • 흐림대구 8.9℃
  • 흐림전주 6.2℃
  • 울산 8.6℃
  • 흐림광주 5.7℃
  • 부산 9.7℃
  • 구름많음목포 5.8℃
  • 여수 9.1℃
  • 구름많음흑산도 5.8℃
  • 구름많음완도 7.2℃
  • 구름많음고창 4.5℃
  • 흐림순천 5.0℃
  • -진도(첨찰산) 30.2℃
  • 구름많음홍성(예) 5.7℃
  • 제주 7.2℃
  • 흐림고산 6.7℃
  • 구름많음성산 7.7℃
  • 서귀포 10.4℃
  • 맑음강화 5.4℃
  • 흐림양평 5.2℃
  • 흐림이천 5.8℃
  • 흐림제천 2.9℃
  • 흐림보은 3.6℃
  • 흐림천안 4.0℃
  • 흐림보령 6.6℃
  • 흐림부여 7.0℃
  • 흐림금산 3.6℃
  • 구름많음부안 5.8℃
  • 흐림임실 2.6℃
  • 흐림정읍 4.3℃
  • 흐림남원 4.9℃
  • 흐림장수 2.5℃
  • 구름많음고창군 5.3℃
  • 구름많음영광군 5.3℃
  • 흐림김해시 8.8℃
  • 흐림순창군 4.3℃
  • 흐림보성군 7.0℃
  • 흐림강진군 ℃
  • 흐림장흥 5.6℃
  • 흐림해남 6.6℃
  • 흐림고흥 7.3℃
  • 흐림광양시 8.3℃
  • 구름많음진도군 6.9℃
  • 흐림봉화 3.3℃
  • 흐림문경 5.4℃
  • 흐림구미 7.8℃
  • 구름많음경주시 8.5℃
  • 흐림거창 6.2℃
  • 흐림거제 10.0℃
  • 흐림남해 10.7℃
기상청 제공

피플

연세암병원 최영득 교수, 전립선암 로봇수술 5000례 돌파

최영득 교수 개인 최다 및 아시아 최초 기록
암 병기 등 환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로봇 술기 시행

 

연세암병원 비뇨의학과 최영득 교수(사진)가 최근 아시아 최초로 전립선암 로봇수술 5000례를 돌파했다.

 

최영득 교수는 지난 7월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김씨(63세)에게 로봇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국내는 물론 아시아 최초로 전립선암 로봇수술 5000례를 달성했다. 환자는 특별한 부작용 없이 수술 이틀 후 퇴원했다. 2005년 첫 로봇수술을 시작하면서, 올해 8월까지 전립선암 총 로봇수술 건수는 5023건에 달한다.

 

전립선은 정자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정액을 만드는 남성의 생식기관이다. 전립선암은 전립선 세포의 기능 이상으로 성장을 멈추지 않고 계속 자라나는 종양을 말한다. 골반 안쪽에 위치해 암 조직이 뼈에 가려져 수술이 힘들고 요실금이나 성기능장애 등 수술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립선암에서 로봇수술을 많이 이용한다. 약 8mm 길이의 로봇팔을 이용해 수술하기에 절개 부위가 작아 통증과 출혈을 줄일 수 있어 환자 회복을 앞당기고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특수 카메라로 암 부위를 확대해 볼 수 있어 골반뼈 뒤에 있는 전립선 수술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수술 후 2~3일이면 퇴원할 수 있고, 흉터도 적어 미용 만족도가 높다.

 

최 교수는 암 병기와 형태 등 환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술기를 개발했다. 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수술은 복강(배 안)으로 로봇팔을 삽입해 수술한다. 최 교수의 경우 복강 내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막 외 접근법이라는 안전한 수술법을 사용하고 있다. 배꼽 아래에서 방광 윗 공간에 로봇팔을 넣어 전립선암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개발한 20여 종류의 환자 맞춤형 로봇 전립선 적출술로 생존 기간도 늘었다. 최 교수는 암이 뼈로 전이돼 수술이 힘든 진행성 전립선암에서도 로봇수술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암 조직을 제거하면서 요도조직과 성 신경은 최대한 남기는 ‘요도-신경-혈관 보존 로봇 적출술’을 개발했다.

 

EMB000051704463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수술이 1~2시간 정도 걸리는데 반해 최 교수는 많은 경험과 다양한 술기, 복막 외 접근법으로 수술시간을 20여분으로 단축했다. 환자 맞춤형 술기 적용과 복막 외 접근, 짧은 수술시간으로 출혈이 적고 마취시간도 줄여 수술에 따른 부작용도 최소화하고 있다.

 

최영득 교수는 “지금까지 로봇수술로 전립선암을 치료하면서 환자마다 병기뿐만 아니라 종양 형태 등이 제각기 다른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계속해서 술기를 연구하면서 맞춤형 수술을 제공해 정확하고 섬세한 치료와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시니어신문 박철민 기자 | parkiron@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