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3.8℃
  • 맑음대관령 -8.3℃
  • 맑음백령도 -1.6℃
  • 맑음북강릉 -0.2℃
  • 맑음강릉 -0.4℃
  • 맑음동해 0.8℃
  • 맑음서울 -3.0℃
  • 맑음인천 -2.4℃
  • 맑음수원 -1.7℃
  • 맑음충주 -3.8℃
  • 맑음서산 -0.6℃
  • 맑음청주 -2.2℃
  • 맑음대전 -1.2℃
  • 구름조금추풍령 -4.1℃
  • 맑음군산 -1.1℃
  • 구름많음대구 -1.5℃
  • 구름많음전주 -1.8℃
  • 흐림울산 -1.0℃
  • 구름많음광주 -0.4℃
  • 구름조금부산 0.7℃
  • 구름많음목포 -0.5℃
  • 구름많음여수 -0.5℃
  • 구름많음흑산도 3.7℃
  • 흐림완도 1.3℃
  • 구름많음고창 -1.6℃
  • 흐림순천 -2.1℃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0.2℃
  • 구름많음제주 3.9℃
  • 구름많음고산 3.7℃
  • 구름많음성산 3.8℃
  • 구름조금서귀포 7.0℃
  • 맑음강화 -2.6℃
  • 맑음양평 -3.3℃
  • 맑음이천 -2.2℃
  • 맑음제천 -5.0℃
  • 맑음보은 -2.3℃
  • 맑음천안 -2.0℃
  • 구름조금보령 -0.2℃
  • 맑음부여 -2.2℃
  • 구름조금금산 -2.7℃
  • 구름조금부안 -1.2℃
  • 구름많음임실 -3.2℃
  • 구름많음정읍 -1.3℃
  • 흐림남원 -2.9℃
  • 흐림장수 -4.7℃
  • 구름많음고창군 -1.3℃
  • 구름많음영광군 -1.6℃
  • 구름많음김해시 0.0℃
  • 흐림순창군 -2.0℃
  • 구름많음보성군 0.4℃
  • 흐림강진군 -0.2℃
  • 흐림장흥 0.4℃
  • 흐림해남 0.0℃
  • 구름많음고흥 1.8℃
  • 구름많음광양시 1.8℃
  • 구름많음진도군 1.0℃
  • 맑음봉화 -4.6℃
  • 맑음문경 -2.8℃
  • 구름많음구미 -1.3℃
  • 구름많음경주시 -1.5℃
  • 흐림거창 -3.6℃
  • 구름많음거제 0.8℃
  • 구름많음남해 0.7℃
기상청 제공

KAIST, 악성 뇌종양 탐지 대식세포 발견 및 기능 규명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 연구팀, 뇌종양 내에서 종양 탐지 및 면역반응 활성화하는 특정 대식세포 밝혀
뇌종양 침윤 대식세포 활성화 및 조절을 통해 뇌종양에서는 효과 없던 면역항암제의 효능 증진 복합치료제 개발에 기대

[한국시니어신문] 뇌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인 교모세포종은 미국에서만 매년 1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지만 최근 주목받는 면역치료제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지 못한, 치료가 매우 어려운 암 중 하나다. 국내 연구진은 이러한 교모세포종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대식세포와 그 작용 기전을 밝혀 새로운 면역치료법의 가능성을 열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교모세포종 내에서 항암 면역반응에 중요한 대식세포를 찾고, 이 세포가 세포독성 T 세포를 활성화하고 포식작용으로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교모세포종 환자는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이 8개월에 불과하며 5년 이상 생존율은 6.8%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종양 치료를 위한 활발한 연구로 면역관문 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돼 지난 30년간 전체 암 환자의 생존율이 20% 가까이 증가했지만, 교모세포종 환자의 생존율 증가는 2%에 그쳤다. 

 

종양 내 면역세포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대식세포는 일반적으로 종양을 제거하는 대신 종양 환경에 적응해 종양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돕고 다른 면역세포들의 활성 및 작용을 억제해 항암 면역반응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흑색종 등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는 면역관문 치료제가 교모세포종 치료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것이 보고됐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손꼽히는 것이 이러한 면역 억제성 대식세포의 과다한 유입이다. 하지만 최근 보고된 연구 결과들은 종양 내 대식세포는 매우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여러 대식세포 아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세포들이 면역관문 치료제 등이 효과를 나타내는 데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 연구팀은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NCI)와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NHGRI)에서 운영하는 암 유전체 아틀라스(The Cancer Genome Atlas, TCGA)에 공개된 교모세포종 환자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해 교모세포종 내에서 항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대식세포의 마커로 CD169 유전자를 발굴하고, 마우스 교모세포종 모델을 사용해 CD169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식세포가 없으면 항암 면역반응이 감소해 마우스의 생존이 감소하는 것을 밝혔다.

 

특히 연구팀은 CD169를 발현하는 대식세포가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내 유입에 중요한 CXCL10과 같은 *케모카인을 증가시켜 활성화된 T 세포의 종양 내 유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CD169는 이 대식세포의 마커일 뿐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포식작용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 CD169로 인해 포식작용이 증가한 대식세포는 암세포 특이적인 세포독성 T 세포의 활성을 직접 증가시키는 것을 밝혔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교모세포종에 대한 항암 면역반응에 중요한 대식세포의 마커를 발굴한 것뿐만 아니라, 이들 대식세포가 항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해 면역관문 치료제의 효과를 높이는 복합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ˮ고 밝혔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연수연구원 김현진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0월 20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동은 기자] edong@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