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9.0℃
  • 맑음대관령 -16.4℃
  • 구름조금백령도 -2.5℃
  • 맑음북강릉 -5.2℃
  • 맑음강릉 -3.4℃
  • 맑음동해 -3.9℃
  • 맑음서울 -6.3℃
  • 맑음인천 -5.2℃
  • 맑음수원 -7.7℃
  • 맑음충주 -9.0℃
  • 맑음서산 -8.7℃
  • 맑음청주 -5.3℃
  • 구름조금대전 -5.8℃
  • 흐림추풍령 -6.0℃
  • 구름많음군산 -5.4℃
  • 구름많음대구 -2.9℃
  • 구름많음전주 -4.0℃
  • 흐림울산 -2.8℃
  • 구름많음광주 -2.6℃
  • 구름많음부산 -1.6℃
  • 흐림목포 -1.3℃
  • 흐림여수 -2.1℃
  • 흐림흑산도 2.0℃
  • 흐림완도 -0.5℃
  • 구름많음고창 -4.3℃
  • 흐림순천 -4.0℃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7.0℃
  • 구름많음제주 2.6℃
  • 흐림고산 2.8℃
  • 구름조금성산 1.6℃
  • 구름많음서귀포 4.1℃
  • 맑음강화 -5.9℃
  • 맑음양평 -6.8℃
  • 맑음이천 -6.8℃
  • 맑음제천 -11.1℃
  • 맑음보은 -6.5℃
  • 맑음천안 -8.0℃
  • 구름많음보령 -7.2℃
  • 구름많음부여 -7.1℃
  • 흐림금산 -5.5℃
  • 구름많음부안 -4.5℃
  • 구름많음임실 -6.5℃
  • 구름많음정읍 -5.0℃
  • 구름많음남원 -6.6℃
  • 흐림장수 -6.9℃
  • 구름많음고창군 -3.5℃
  • 구름많음영광군 -3.1℃
  • 흐림김해시 -2.7℃
  • 흐림순창군 -4.4℃
  • 흐림보성군 -1.2℃
  • 흐림강진군 -1.1℃
  • 흐림장흥 -1.5℃
  • 흐림해남 -0.5℃
  • 흐림고흥 -1.7℃
  • 흐림광양시 -2.4℃
  • 흐림진도군 -0.2℃
  • 맑음봉화 -13.1℃
  • 맑음문경 -7.3℃
  • 구름많음구미 -6.7℃
  • 흐림경주시 -2.9℃
  • 흐림거창 -7.3℃
  • 구름많음거제 -1.4℃
  • 흐림남해 -1.4℃
기상청 제공

KAIST, 퇴행성 관절염 획기적 조기진단 가능성 열어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팀, 골관절염 발병 및 진행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골관절염 진단 및 치료의 획기적인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향후,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질환의 발병 메커니즘 분석에도 효과적 치료전략 마련에 유용할 것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윤종 교수 공동 연구팀이 골관절염(Osteoarthritis)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를 찾아냈다고 31일 밝혔다.

 

골관절염은 뼈의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관절 연골이 마모돼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흔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관절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골관절염의 발병 과정 중 손상된 연골에서 염증을 일으켜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물질이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mitochondrial double-stranded RNA, 이하 mt-dsRNA)라는 것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골관절염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증상들의 원인을 mt-dsRNA라는 개념을 통해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골관절염 진단 및 치료에 획기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수진 학생과 이건용 학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 지난 8월 9일 字에 게재됐다. (논문명 : Mitochondrial double-stranded RNAs govern the stress response in chondrocytes to promote osteoarthritis development)

 

골관절염은 우리나라 70세 이상의 여성 인구에서 약 50%의 유병률을 보이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노화와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이들을 구분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골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약물을 활용한 보존적 치료 혹은 수술을 비롯한 다양한 시도를 활발히 하고 있지만, 기존 접근방법으로 골관절염이 완치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연구팀은 질병의 발병 및 진행 메커니즘을 분석함으로써 골관절염의 조기진단과 완치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표적 물질을 찾고자 했다.

 

이중나선 RNA(dsRNA)는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해 세포사멸 및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dsRNA의 과발현은 다양한 퇴행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dsRNA의 조절은 건강한 세포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세포에서 dsRNA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세포에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알려진 미토콘드리아다. 미토콘드리아는 자체 생산하는 dsRNA를 세포질로부터 분리해 dsRNA의 노출과 이에 따른 면역반응을 막는다. 하지만 자극 혹은 세포 스트레스에 의해 mt-dsRNA가 세포질에 노출되면 RNA가 면역반응 단백질에 의해 인지돼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골관절염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손상과 원인을 알 수 없는 면역반응 단백질의 활성화가 관찰된다는 점에 착안해 mt-dsRNA가 골관절염 발병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팀은 연골세포에서 구축한 골관절염 모사 환경에서 mt-dsRNA가 미토콘드리아 외부로 노출돼 선천성 면역반응 단백질에 의해 인지됨에 따라 면역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골관절염 환자들의 무릎 활막액 및 연골 조직과 골관절염 생쥐 모델의 연골에서도 mt-dsRNA가 유의미하게 증가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다른 관절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통풍 환자들의 활막액과 비교했을 때 골관절염 환자들의 활막액에서 더 많은 양의 mt-dsRNA가 검출됐다. 또한 초기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연골에서 mt-dsRNA가 많이 증가했다. 따라서 연구팀은 골관절염을 특이적으로 조기진단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서 mt-dsRNA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골관절염의 전도유망한 치료법 중 하나인 자가포식(Autophagy)의 치료 메커니즘에서 mt-dsRNA의 역할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자가포식이 세포질에서 mt-dsRNA를 제거함으로써 골관절염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신개념의 표적 물질로서 mt-dsRNA을 제시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 수준의 골관절염 모사 환경에서 mt-dsRNA의 기능 규명을 넘어서 실제 골관절염 생쥐 모델의 연골 및 환자의 인체유래물에서 mt-dsRNA의 특이적인 발현 증가를 검증했다ˮ면서 "골관절염처럼 미토콘드리아 손상이 관찰되는 알츠하이머를 비롯한 퇴행성 질환의 발병 메커니즘 분석에 mt-dsRNA를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치료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할 것ˮ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한국시니어신문 김민준 기자 | minjun@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