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머니, 오늘 기분은 어떠세요? 어제 말씀하신 무릎 통증은 좀 나아지셨나요?"
네이버의 AI '클로바'가 매일 3만 명의 어르신께 안부 전화를 건다. 2021년 11월 부산 해운대구에서 시작된 '클로바 케어콜'은 현재 전국 229개 시·군·구 중 140여 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내 AI 안부 전화 서비스 중 최대 규모다.
놀라운 건 응답률과 만족도다. 96%가 전화를 받고, 90%가 만족한다고 답한다. 단순한 안부 확인을 넘어 2022년 8월부터는 대화 내용을 기억해 맥락을 이어가는 기능이 추가됐다. 2023년부터는 재난 정보 안내 등 목적성 대화 기능도 도입됐다.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병원이나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즉시 연계한다. 실제로 위기 상황에서 독거노인을 구조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NHN의 AI 돌봄로봇 '바둑이'는 또 다른 접근이다. 충북 진천군에 기증된 이 로봇은 실제로 바둑을 둘 수 있다. 모니터가 달린 머리와 로봇 팔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의 바둑 실력에 맞춰 실제 대국이 가능하다. 고령자의 인지능력 개선과 여가 활동을 동시에 지원한다. NHN의 시니어케어 자회사 '와플랫'은 모바일 앱 기반 'AI 생활지원사' 서비스를 전국 12개 지자체에 공급하고 있다.

카카오헬스케어의 '케어챗'은 2023년 8월부터 운영 중인 카카오톡 기반 AI 의료 챗봇이다. 90여 개 의료기관에서 35만 명이 사용하며, 진료 예약부터 사전 문진, 진료 접수, 환자카드 작성, 진료비 결제까지 병원 컨시어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2025년 5월에는 마이데이터 기반 약물 비서 서비스도 추가했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핵심은 5단계 안부 확인 체계다. 자동 안부 확인 → 건강 모니터링 → 복약 알림 → 유선 상담 → 보안업체 출동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으로 돌봄의 빈틈을 줄이고 있다.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은 2023년 약 5,000억 원에서 2030년 약 8조 9,000억 원으로 연평균 50.8%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AI 헬스케어 시장도 2023년 약 21조 원에서 2030년 약 242조 원으로 연평균 37% 성장이 예상된다.
AI가 사람의 온기를 대체할 수 있을까? 정답은 '대체'가 아닌 '보완'에 있다. 부족한 돌봄 인력을 AI가 24시간 지원하고, 진짜 응급상황에서 사람이 개입하는 시스템. 이것이 미래 돌봄의 모습이다. 중요한 건 기술이 아니라 어르신들이 느끼는 '안전감'과 '신뢰감'이다.
[한국시니어신문 김규민 기자] kyumin021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