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니어신문] 2025년 1월 24일 시행된 '디지털의료제품법'. 세계 최초라는 수식어가 무색하지 않게, 8개월이 지난 지금 한국 의료 현장에는 가시적인 변화의 신호들이 포착되고 있다. 본지는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주요 기관의 공식 자료와 업계 보고서를 종합 분석해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이 가져온 실제 변화를 추적했다. 예산 증액부터 국정과제까지...정부 의지는 확고 보건복지부의 공식 예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R&D 투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지원 사업의 경우, 2023년 120억원에서 2024년 135억원으로 12.5% 증가했고, 2025년에는 150억원으로 다시 11.1% 늘어났다. 3년간 총 투자액은 405억원에 달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2025년 하반기부터 새롭게 추진되는 '재활 분야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사용적합성평가 지원 사업'이다. 국립재활원 주도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별도 예산 25억원이 책정되어, 재활 의료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8월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분석하면
[한국시니어신문] 숫자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 실버산업 시장규모는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 168조원으로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에이지테크 시장은 더욱 압권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연평균 23% 성장해 2025년 4,256조원(3조 2,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의 실버케어 시장만 해도 약 133조원(100조 엔) 규모다. 말하는 로봇인형부터 근력보조로봇, 와이파이 센싱기술, 휴대용 화장실, 접이식 샤워의자, 미끄럼 방지제까지 상상을 초월하는 제품들이 쏟아진다. 소니, 올림푸스, 히타치 등 전기·정밀기기 회사들까지 재생의료 분야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국내 스타트업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마이베네핏의 '버츄얼 메이트 VM3'는 딥러닝 기반 3D 동작인식 카메라로 사용자의 관절과 움직임을 분석해 체력 수준을 평가한다. 3만 건의 측정 데이터와 적외선 뎁스 카메라를 활용해 넉넉한 옷차림에도 정확한 자세 측정이 가능하며, 580여 종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고령친화 UI와 안면인식 로그인 시스템까지 도입했다. 제론엑스의 '늘 케어'는 고령 환자의 위험도를 AI 알
"어머니, 오늘 기분은 어떠세요? 어제 말씀하신 무릎 통증은 좀 나아지셨나요?" 네이버의 AI '클로바'가 매일 3만 명의 어르신께 안부 전화를 건다. 2021년 11월 부산 해운대구에서 시작된 '클로바 케어콜'은 현재 전국 229개 시·군·구 중 140여 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내 AI 안부 전화 서비스 중 최대 규모다. 놀라운 건 응답률과 만족도다. 96%가 전화를 받고, 90%가 만족한다고 답한다. 단순한 안부 확인을 넘어 2022년 8월부터는 대화 내용을 기억해 맥락을 이어가는 기능이 추가됐다. 2023년부터는 재난 정보 안내 등 목적성 대화 기능도 도입됐다.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병원이나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즉시 연계한다. 실제로 위기 상황에서 독거노인을 구조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NHN의 AI 돌봄로봇 '바둑이'는 또 다른 접근이다. 충북 진천군에 기증된 이 로봇은 실제로 바둑을 둘 수 있다. 모니터가 달린 머리와 로봇 팔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의 바둑 실력에 맞춰 실제 대국이 가능하다. 고령자의 인지능력 개선과 여가 활동을 동시에 지원한다. NHN의 시니어케어 자회사 '와플랫'은 모바일 앱 기반 'AI 생활지원사' 서비스를 전국 12개 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