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 길이가 38%나 늘어났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이 64세 이상 성인 35명에게 3개월간 고압산소치료를 시행했더니, 텔로미어 길이가 최대 38%나 늘어났다. 동시에 노화세포 비율은 37% 줄어들었다. "3개월 치료로 생물학적 나이를 20년 되돌린 셈입니다. 그동안 시도했던 어떤 방법보다 효과적이었어요." 연구를 이끈 셰이 에프라티 교수의 말이다. 이 연구는 2020년 국제 학술지 '에이징(Aging)'에 게재되어 전 세계 의학계에 충격을 주었다. 그동안 노화는 되돌릴 수 없는 일방향적 과정으로 여겨졌는데, 실제로 세포 수준에서 역노화가 가능함을 증명한 최초의 연구였기 때문이다. 고압산소치료란 무엇인가 고압산소치료는 대기압보다 2-3배 높은 고압 환경에서 100%에 가까운 순수 산소를 흡입하는 치료법이다. 원래는 연탄가스 중독이나 잠수병, 화상 치료에 사용됐지만, 최근 노화 방지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마시는 공기 중 산소 농도는 21%다. 하지만 고압산소치료기 안에서는 100% 순수 산소를 마신다. 여기에 2.4기압이라는 고압 환경이 더해지면, 혈장 내 산소 농도가 평상시의 10배 이상 증가한다. 이렇게 늘어난 산소가 손상된
"생물학적 나이를 20년 되돌릴 수 있다" 저속노화는 정말 가능할까? 과학자들이 찾아낸 답은 '텔로미어'에 있다. 텔로미어는 우리 몸 세포의 염색체 끝에 있는 DNA 구조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지는데, 이것이 바로 노화의 원인이다. 젊을 때는 8,000-10,000개 정도 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줄어든다. 마치 신발끈 끝의 플라스틱 캡처럼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엘리자베스 블랙번 박사의 연구 이후, 텔로미어는 '세포의 시계'로 불리며 노화 연구의 핵심이 되고 있다. 텔로미어가 일정 길이 이하로 짧아지면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하거나 죽게 된다. 세계 최초 개별 염색체 텔로미어 정밀 측정 그동안 텔로미어 연구의 한계는 정확한 측정의 어려움이었다. 기존 방법으로는 전체 텔로미어의 평균 길이만 측정 가능했을 뿐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46개 염색체마다 텔로미어 길이가 모두 다르다. 2024년 미국 솔크연구소가 개발한 'Telo-seq' 기술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제는 46개 염색체 각각의 텔로미어 길이와 서열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텔로미어 연구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발전으로 평가받고
나이 들어도 20대 몸으로 살 수 있을까? 직장인 김민수씨(28)는 최근 점심메뉴를 완전히 바꿨다. 치킨, 짜장면 대신 샐러드와 현미밥을 선택한다. 저녁에는 헬스장에서 1시간씩 운동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엔 명상 앱을 켠다. 주말에는 등산이나 요가 클래스에 참여한다. "아직 젊지만 미리미리 관리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것 같아서요. 주변 친구들도 다들 저속노화에 관심 많아요. 회사 동료들과 헬스장도 같이 다니고, SNS로 건강 정보도 공유해요." 김씨처럼 20-30대 젊은층 사이에서 '저속노화(Slow Aging)' 열풍이 불고 있다. 노화를 완전히 막는 게 아니라 속도를 늦춰 건강하게 나이 들자는 개념이다. 단순한 유행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전체를 바꾸는 문화 혁명으로 번지고 있다. 젊은 세대가 이끄는 새로운 건강 트렌드 롯데멤버스가 올해 1-9월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놀랍다. 2000년대 후반생부터 2010년대 초반생인 '잘파세대'의 저속노화 관련 식품 구매액이 전년 대비 16% 급증했다. 특히 비정제 탄수화물, 식물성 지방, 식이섬유 구매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높았다. 이들이 주로 사는 것은 무엇일까? 기존 젊은 세대가 즐겨 먹던 치킨,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