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진도(첨찰산) 30.2℃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문경 30.2℃
  • 구름많음구미 31.6℃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소변 보고 손 씻기? 손 씻고 소변 보기?" 어떤 게 더 위생적일까

남자들은 몰랐던 충격적 진실

 

[한국시니어신문]  소변을 본 뒤 손을 씻지 않는다면 위생관념이 떨어지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화장실에서 소변을 봤다면 손을 씻는 것이 상식이자 매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튜버 꽈추형으로 잘 알려진 비뇨기과 전문의 홍성우 의사는 최근  집사부일체에 출연해 남자들은 몰랐던 충격적 사실에 관련된 질문을 던졌다. 

 

“볼일을 본 뒤 손 씻는 순서가 바뀌었다. 손이 더러울까 꽈추(?)가 더러울까?”

 


우리의 상식을 뒤짚는 질문이었다. 왜 우리는 지금껏 순서가 바뀌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을까?

 

우리 신체 중 가장 더럽고 위험한 것이 ‘손’이라고 학자들은 경고한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 연구진의 연구결과 한 사람의 손바닥에는 평균 150종류의 세균이 있으며, 그 수가 6만 마리에 이른다고 한다. 

 

식중독과 중이염, 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유발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은 우리 손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균이다. 이외에도 손에는 대장균, 인플루엔자간균, 살모넬라균 등 여러 종류의 병원균이 존재한다. 이 균들은 폐렴, 기관지염, 감기 등을 유발하며 손을 통해 전염되므로 항상 주의해야 한다.

 

손에 세균이 많다고 해서 그 자체로 위험한 것이 아니라 세균이 체내로 침투하는 경우가 위험한 것이다. 씻지 않은 손으로 코나 입을 만지고, 눈을 비비고, 상처를 긁는 등의 행동으로 세균이 체내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균 덩어리인 손으로 생식기를 만지면 자칫 요도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는 얘기다.  비뇨기과 전문의 홍성우 의사는 “앞으로는 꼭 볼일 전에도 손을 씻으라”고 권했다. 

 

그렇다면 소변 뒤 손 씻기는 안해도 된다는 말일까? 그건 아니다.


공중화장실에는 문고리, 변기 뚜껑, 변기 레버 등에 병원성균이 많이 존재한다. 2019년 질병관리본부와 분당서울대병원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공중화장실의 문고리와 변기 뚜껑 등에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병원균이 무려 13종이나 발견됐다.

 

이중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와 칸디다파라프실로시스, 코리네박테리움 등 5종은 건강한 사람도 감염이 가능한 균이다. 나머지 모락셀리속이나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등은 기회감염균으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을 공격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실험에서 검출된 병원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은 패혈증이나 중증피부감염, 세균성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화장실 이용 후 손을 잘 씻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화장실 이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안전하다. 설령, 소변을 보지 않았더라도 화장실을 이용했다면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소변이 튄 변기, 물 내림 스위치 등에 번식한 세균이 사람의 손에서 손으로 화장실 문손잡이, 거울, 수도꼭지 손잡이 등에 전해지기 때문이다.

 

건강한 삶을 위해, 각종 세균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선 손 씻고 소변보고 화장실 이용 후에 다시 한번 손 씻자. 좀 귀찮더라도. 

 

[한국시니어신문 김신우 기자] kkm@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