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17.6℃
  • 맑음대관령 11.5℃
  • 구름조금백령도 15.9℃
  • 맑음북강릉 16.7℃
  • 맑음강릉 17.9℃
  • 맑음동해 16.3℃
  • 맑음서울 17.8℃
  • 맑음인천 16.8℃
  • 맑음수원 18.0℃
  • 맑음충주 17.3℃
  • 맑음서산 17.5℃
  • 맑음청주 19.2℃
  • 맑음대전 19.6℃
  • 맑음추풍령 18.3℃
  • 구름많음군산 17.4℃
  • 맑음대구 20.7℃
  • 구름조금전주 19.7℃
  • 맑음울산 17.9℃
  • 구름많음광주 20.8℃
  • 구름많음부산 20.4℃
  • 구름조금목포 17.3℃
  • 맑음여수 19.7℃
  • 구름많음흑산도 15.9℃
  • 구름많음완도 21.0℃
  • 구름조금고창 18.5℃
  • 구름조금순천 19.8℃
  • -진도(첨찰산) 30.2℃
  • 구름조금홍성(예) 18.5℃
  • 맑음제주 20.6℃
  • 맑음고산 19.2℃
  • 맑음성산 19.6℃
  • 맑음서귀포 21.9℃
  • 구름조금강화 16.7℃
  • 맑음양평 17.7℃
  • 구름조금이천 17.9℃
  • 맑음제천 17.2℃
  • 맑음보은 18.5℃
  • 맑음천안 17.9℃
  • 구름조금보령 19.8℃
  • 구름조금부여 19.9℃
  • 맑음금산 19.4℃
  • 구름조금부안 17.8℃
  • 구름조금임실 20.1℃
  • 맑음정읍 18.9℃
  • 구름조금남원 21.2℃
  • 맑음장수 19.2℃
  • 맑음고창군 18.7℃
  • 구름조금영광군 18.3℃
  • 구름조금김해시 20.9℃
  • 맑음순창군 21.3℃
  • 구름많음보성군 20.5℃
  • 구름조금강진군 21.0℃
  • 구름조금장흥 20.4℃
  • 구름조금해남 20.1℃
  • 구름많음고흥 21.7℃
  • 맑음광양시 21.5℃
  • 구름많음진도군 17.8℃
  • 맑음봉화 17.0℃
  • 맑음문경 18.7℃
  • 맑음구미 18.0℃
  • 맑음경주시 20.0℃
  • 구름조금거창 22.0℃
  • 구름조금거제 16.4℃
  • 구름조금남해 18.7℃
기상청 제공

뇌혈관장벽 개방해 치매 항체 치료제 전달률 8.1배 ↑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이 약물 전달을 막아
치료약물 전달 향상은 물론 치매 원인 물질 감소, 인지 기능 개선 확인

 

[한국시니어신문]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을 일시적으로 열어 치매 항체 치료제의 전달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의대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연구팀은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김혜선 교수 연구팀과 치매 유발 생쥐의 해마 부위에 위치한 뇌혈관장벽을 고집적 초음파로 개방해 항체 치료제 전달률을 8.1배 향상시켰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Translational Neurodegeneration, IF 9.883)에 게재됐다.

 

치매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에 쌓이며 뇌세포를 파괴해 발생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로 현재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하지만 치료 효과를 위한 고용량 투약 시에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임상에서 사용시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한 논란이 제기돼 왔다.

 

항체 치료제 등 약물을 고용량 투약해야 하는 이유는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 때문이다. 인체 내에서 세균 등 독성 물질을 거르는 뇌혈관장벽의 역할이 오히려 치매 항체 치료제 약물 전달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하는 것이다.

 

장진우 교수팀은 2021년 광범위한 전두엽의 뇌혈관장벽을 초음파 수술로 안전하게 개방하는 수술법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 동시에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는 물론 행동심리검사에서도 일시적이지만 치매 환자의 증상 호전을 확인한 바 있다.

 

후속 과제로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는 치매 유발 생쥐를 통해 뇌혈관장벽 초음파 개방수술을 이용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체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조사했다.

 

치매 유발 생쥐를 뇌혈관장벽을 초음파로 개방수술만 한 그룹, 항체 치료제인 아두카누맙 투약만 한 그룹, 뇌혈관장벽 초음파 개방수술과 아두카누맙 투약을 동시에 같이 한 세 그룹으로 나눠 실제 치매 증상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했다.

 

뇌의 해마부위로 아두카누맙이 전달된 양을 살핀 결과, 뇌혈관장벽 개방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는 투약만 한 그룹보다 전달량이 8.1배 높았다. 또 아두카누맙이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한 양은 뇌혈관 장벽 개방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 투약만 한 그룹보다 약 2배 높았다. 뇌혈관장벽 개방수술만 한 그룹은 투약을 하지 않았어도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를 보였다.

 

이와 함께, Y-미로 검사를 통해서 뇌혈관장벽 개방과 함께 투약을 한 그룹에서는 대조군(치매 생쥐)에 비해 인지기능이 대략 40% 정도 호전된 것을 관찰했다. Y-미로 검사는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는 쥐의 습성을 이용해 쥐가 세 갈래 길에서 얼마나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고 새로운 길로 가는지를 관찰하는 인지기능 확인 실험이다.

 

장진우 교수는 “이미 임상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뇌혈관장벽 초음파 개방수술과 아두카누맙과 같은 새로운 치매 항체 치료제를 병행하는 임상 연구를 조만간 이어갈 계획”이라며 “치매를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가운데 고집적 초음파수술을 이용한 뇌혈관장벽 개방수술은 불치병으로 여겨지고 있는 치매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법으로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시니어신문 정민호 기자] mino@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