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5.1℃
  • 흐림대관령 0.3℃
  • 맑음백령도 3.0℃
  • 북강릉 3.3℃
  • 흐림강릉 4.7℃
  • 흐림동해 6.2℃
  • 구름많음서울 5.6℃
  • 맑음인천 5.4℃
  • 구름많음수원 5.9℃
  • 흐림충주 4.0℃
  • 맑음서산 4.8℃
  • 흐림청주 5.3℃
  • 흐림대전 6.2℃
  • 흐림추풍령 2.7℃
  • 구름많음군산 5.2℃
  • 대구 7.0℃
  • 흐림전주 5.8℃
  • 울산 8.6℃
  • 구름많음광주 6.8℃
  • 부산 9.2℃
  • 구름많음목포 4.6℃
  • 여수 8.0℃
  • 구름조금흑산도 5.5℃
  • 구름많음완도 6.8℃
  • 구름많음고창 4.4℃
  • 흐림순천 3.7℃
  • -진도(첨찰산) 30.2℃
  • 구름많음홍성(예) 6.3℃
  • 흐림제주 7.0℃
  • 흐림고산 6.5℃
  • 구름많음성산 7.5℃
  • 서귀포 9.0℃
  • 맑음강화 5.8℃
  • 흐림양평 5.3℃
  • 흐림이천 4.9℃
  • 흐림제천 2.7℃
  • 흐림보은 4.1℃
  • 흐림천안 4.5℃
  • 구름조금보령 7.0℃
  • 구름많음부여 6.7℃
  • 흐림금산 4.6℃
  • 구름많음부안 5.4℃
  • 흐림임실 4.3℃
  • 구름많음정읍 4.7℃
  • 흐림남원 4.4℃
  • 흐림장수 2.6℃
  • 구름많음고창군 5.9℃
  • 구름많음영광군 4.9℃
  • 흐림김해시 6.8℃
  • 흐림순창군 4.6℃
  • 흐림보성군 6.0℃
  • 흐림강진군 ℃
  • 흐림장흥 6.0℃
  • 구름많음해남 7.1℃
  • 흐림고흥 7.0℃
  • 흐림광양시 7.0℃
  • 구름많음진도군 5.5℃
  • 흐림봉화 3.7℃
  • 흐림문경 4.6℃
  • 흐림구미 7.2℃
  • 흐림경주시 8.7℃
  • 흐림거창 5.2℃
  • 흐림거제 9.5℃
  • 흐림남해 8.6℃
기상청 제공

KAIST, 표적단백질 ‘시캠1’ 발굴로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제시

KAIST-삼성서울병원 공동연구팀,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선택적 제거를 통한 기존 면역항암제의 제한점을 극복할 새로운 면역 항암 전략 제시

 

[한국시니어신문] 우리 몸에는 면역반응의 과도한 유도를 조절하고 자가면역질환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조절 T세포가 있는데, 종양 내에 존재하여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조절 T세포만을 골라서 제거할 수 있는 암 면역치료법이 개발되어 화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이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삼성서울병원 서성일, 강민용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선택적 제거를 통한 신규 면역항암 전략을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우리 몸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종양 내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인 시캠1(이후 CEACAM1)을 발굴하고, 이를 타겟으로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했을 때, 최근 암 환자에게 널리 쓰이는 기존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암 환자의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치료의 개발은 많은 암 연구자들의 관심사다.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당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하는 이른바 표적 단백질을 발굴해야 한다. 

 

KAIST-삼성서울병원 공동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신장암 환자로부터 얻은 조직과 혈액을 분석해서 CEACAM1이 혈액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에는 발현되지 않지만, 종양 내 조절 T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또한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해 그러한 양상이 신장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암종에서 나타남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신장암 환자의 종양 내 면역세포에서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거했을 때 면역항암 작용을 하는 면역세포의 종양 제거 능력이 월등히 증가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더불어, CEACAM1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대표적인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면역항암 기능이 월등히 증가됨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토대로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가 항종양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주된 세포임을 밝혔고, 이 세포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이 매우 효과적인 항암치료 및 면역치료제 개발에도 활용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KAIST 전승혁 박사와 삼성서울병원 강민용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을 발굴함과 동시에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생물학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이며, 이번 연구의 결과가 궁극적으로 면역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하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ˮ고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 서성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상 샘플을 사용해 종양 내 조절 T세포 제거 치료의 단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CEACAM1의 발현이 종양의 성장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바이오마커로써 응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KAIST 박수형 교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어하는 치료는 많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지만 아직 이를 이용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CEACAM1이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제거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동은 기자] edong@kseniornews.com